2023학년(2022년) Test1 EBS 1번~10번 수능특강 유형편 지문 및 해석 mp3
Test 1-1)
To whom it may concern,
In the last several years there has been a tremend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homeless citizens sleeping in Westwood Park. On any given night I can count at least ten individuals quietly sleeping under trees and on benches. The problem is that the park restrooms close at sunset, and the homeless have no toilet facilities. On behalf of the over 200 neighborhood residents who have signed it, I present you with this written request asking the city to install and maintain a sanitary, temporary toilet. This measure, while not solving the problem of the homeless, will help address the sanitation problem this neighborhood park faces. I am sure you will see the logic in this request and will implement this measure until the greater problem of homelessness in our city can be fairly and properly resolved.
Sincerely,
Stephen Taylor
* sanitary 위생적인
지난 몇 년 동안 Westwood 공원에서 잠을 자는 노숙자 시민들 의 수가 엄청나게 증가해 왔습니다. 어느 밤이든지 저는 나무 밑 과 벤치 위에서 조용히 자고 있는 최소한 10명의 사람들을 셀 수 있습니다. 문제는 공원 화장실이 해 질 녘이면 문을 닫고, 노숙자 에게는 화장실 시설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 요청서에 서명해 준 200명이 넘는 동네 주민들을 대표하여 저는 시에서 위생적인 임 시 화장실을 설치하고 유지 관리해 줄 것을 요구하는 이 요청서를 귀하에게 제출합니다. 이 조치가 노숙자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 겠지만, 이 근린공원이 직면하고 있는 위생 문제를 다루는 데 도 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귀하가 이 요청 속의 타당성을 이해할 것 이고, 우리 시의 더 큰 노숙자 문제가 공정하고 적절하게 해결될 수 있을 때까지 이 조치를 이행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Test 1-2)
I opened the locked door and approached my friend Abram lying in bed. Yet still, he didn’t make a sound. My heart started to beat faster and faster. I think that it was beating uncontrollably fast because I had no idea what was happening. I didn’t know what would happen. I didn’t know anything regarding this situation. I didn’t even know what to expect. I didn’t understand why he wasn’t responding to me. My eyes had never seen someone in this state. His eyes were open. But they may as well have been closed. And, his body—well, his body made minimal movements. He was breathing, which meant that he was alive. He wasn’t dead—or at least I had thought. He just wouldn’t talk. My mind started to spin. I did not know what to do. I started to ask myself questions. I thought: “What do I do? Do I ask for help? Do I stay? Do I go? What happens next?” I had a bunch of questions. I just didn’t know where to begin.
나는 잠긴 문을 열고 침대에 누워 있는 내 친구 Abram 에게 다가갔다. 그러나 여전히 그는 소리를 내지 않았다. 내 심장 은 점점 더 빠르게 뛰기 시작했다. 나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 전혀 몰랐기 때문에 심장이 걷잡을 수 없이 빠르게 뛰고 있었 다고 생각한다. 나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지 못했다. 나는 이 상 황에 대해 어떤 것도 알지 못했다. 심지어 나는 무엇을 예상해야 할지도 몰랐다. 나는 왜 그가 내게 응답하지 않는지 이해하지 못 했다. 내 눈은 이런 상태에 있는 사람을 본 적이 없었다. 그는 눈 을 뜨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눈은 차라리 감겨 있었던 편이 나았 다. 그리고 그의 몸은, 뭐랄까, 최소한의 움직임만을 보였다. 그는 숨을 쉬고 있었는데, 그것은 그가 살아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 는 죽지 않았고, 혹은 적어도 나는 그렇다고 생각했다. 그는 그냥 말을 하려고 하지 않았을 뿐이다. 머리가 핑핑 돌기 시작했다. 나 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몰랐다. 나는 스스로에게 질문을 하기 시작 했다. 나는 생각했다. “어떻게 하지? 도움을 청할까? 머무를까? 갈까? 다음에 어떻게 되는 거지?” 나에게는 온통 질문뿐이었다. 나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전혀 몰랐다.
Test 1-3)
Happiness is too often equated with pleasure, and it is the pursuit of pleasure that lands us on the hedonic treadmill. Because our sense of happiness tends to be based on positional and relative rankings compared to what others have, the pursuit of some absolute value that we believe will finally bring us happiness once we have achieved it paradoxically leads to misery when the goalposts keep moving. To get off the hedonic treadmill, the Emory University psychiatrist Gregory Berns thinks that we need to stop focusing on pleasure, and instead concentrate on satisfaction. “Satisfaction is an emotion that captures the uniquely human need to give meaning to one’s activities,” Berns says. “While you might find pleasure by happenstance—winning the lottery, possessing the genes for a sunny temperament, or having the luck not to live in poverty—satisfaction can arise only by the conscious decision to do something. And this makes all the difference in the world, because it is only your own actions that you may take responsibility and credit for.”
* hedonic treadmill 쾌락의 쳇바퀴 ** happenstance 우연(한 일) *** temperament 기질
행복은 쾌락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너무 많으며, 우리를 쾌락의 쳇바퀴에 올려놓는 것은 바로 쾌락의 추구이다. 우리의 행 복감은 다른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것과 비교하여 위치상의 상대 적 순위에 기초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일단 달성하면 마침내 우리에게 행복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믿는 어떤 절대적 가 치를 추구하는 것은 골대가 계속 움직이면 역설적으로 불행을 초 래한다. 쾌락의 쳇바퀴에서 내리기 위해서, Emory 대학의 정신 의학자 Gregory Berns는 우리가 쾌락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그 만두고, 대신 만족감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만족감은 자 신의 활동에 의미를 부여하려는 독특하게 인간적인 욕구를 포착 하는 감정이다.”라고 Berns는 말한다. “복권에 당첨되거나, 명랑 한 기질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거나, 가난하게 살지 않아도 되는 행운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우연한 일로 쾌락을 찾을 수도 있지 만, 만족감은 오로지 어떤 것을 하려는 의식적인 결정에 의해서만 생길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이 세상에서 아주 중요한데, 왜냐하면 책임을 지면서 공을 차지할 수도 있는 것은 여러분 자신의 행동뿐 이기 때문이다.”
Test 1-4)
The numbers in sports rise and fall. They just do. Seeking explanation for change, however, it is easy to overinterpret ordinary ups and downs and attribute them to some special cause—such as a jinx. No magic is required: simply the knowledge that a spectacular season of home runs is seldom beaten next year, or that the skier who takes the most risks might be closest to victory ... but also to disaster. If you have been “up” sufficient to make the cover of a celebrated magazine, it could be that you are at your peak and, from the peak, there is only down. When the dog reaches the end of the leash, it often runs back. And that, as we say, is it. The jinx is in all probability due to what statisticians call regression to the mean. When things have been out of the ordinary lately, the next move is most likely back to something more average or typical; after a run of very good luck, chance might be ready for revenge, whether you appear on the cover or not.
* jinx 징크스, 불운을 가져오는 어떤 것 ** leash 가죽끈 *** regression 회귀
→ a string of bad luck often follows to even out the good luck
스포츠에서 수치는 증가하고 감소한다. 그것들은 그냥 그 렇게 한다. 그러나 (수치의) 변동에 대한 이유를 찾으면서, 평범한 기복을 과도하게 해석하고 이것들을 징크스와 같은 특정한 원인 탓으로 돌리기 쉽다. 어떤 마법도 필요하지 않으며, 환상적인 홈 런 시즌이 다음 해에는 거의 갱신되지 않거나 가장 큰 위험을 감 수하는 스키 선수가 승리에 가장 가까울 수 있지만⋯ 재앙에도 가 장 가까울 수 있음을 아는 것이 필요할 뿐이다. 만약 여러분이 유 명한 잡지의 표지에 실리기 충분할 정도로 ‘성적이 좋았다’면, 여 러분은 절정에 다다른 것일 수 있으며, 절정에서는 하강만이 있을 뿐이다. 개가 가죽끈 끝에 이르면 흔히 되돌아 달려온다. 말하자 면, 그것이 전부다. 징크스는 십중팔구, 통계학자들이 평균으로의 회귀라고 부르는 것 때문에 발생한다. 최근에 일이 예사롭지 않을 때, 다음 움직임은 더 평범하거나 일반적인 것으로 돌아갈 가능성 이 매우 크다. 한 차례의 큰 행운이 계속된 이후에는, 여러분이 표 지에 등장하든 그러지 않든, 운은 복수할 준비가 되어 있을 것이 기 때문이다.
Test 1-5)
Land, population density, economic strength and the importance placed on sustainability are the leading factors that impact the development of a waste management strategy. How a community prioritizes those factors is what leads different communities, regions and nations to manage their waste in such different ways. Many governments utilize a solid waste hierarchy to provide general guidance on how to prioritize the use of various waste management alternatives. The most common hierarchies shar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descending order of preference: waste reduction, reuse, recycling and/or composting, waste to energy and landfilling. The most successful waste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world recognize that a successful system will include all options in varying degrees. The most unsuccessful strategies in the world rely entirely on the least preferable alternatives, or set unrealistic goals of utilizing only the most preferable. The lack of planning associated with choosing only the most preferable option usually leads to an eventual overuse of the least preferable option. A balanced approach with appropriate emphasis on the hierarchy has always been the most successful.
* waste hierarchy 폐기물 관리 우선순위 ** composting 비료화
땅, 인구 밀도, 경제력, 그리고 지속 가능성에 부여되는 중요성이 폐기물 관리 전략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이다. 공동체가 그러한 요소에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은 서로 다른 공동체, 지역 및 국가로 하여금 그 폐기물을 매우 다른 방식으로 관리하게 한다. 많은 정부가 다양한 폐기물 관리 대안의 이용에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을 제공하기 위 해 고형 폐기물 관리 우선순위를 활용한다. 가장 일반적인 우선순 위는 선호도를 내림차순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폐기 물 감소, 재사용, 재활용, 그리고/또는 비료화, 폐기물의 에너지 화, 그리고 매립이다.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폐기물 관리 전략 은, 성공적인 방식이란 모든 선택지를 다양한 정도로 포함할 것이 라는 점을 인정한다. 세계에서 가장 성공하지 못한 전략은 가장 덜 선호되는 대안에 전적으로 의존하거나 가장 선호되는 것만을 활용한다는 비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한다. 가장 선호되는 선택지 만을 선택하는 것과 관련된 계획의 부족은 대개 결국 가장 선호되 지 않는 선택지를 남용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그 우선순위에 적절 한 주안점을 둔 균형 잡힌 접근법이 언제나 가장 성공적이었다.
Test 1-6)
Two English-speaking acquaintances meet on a street corner. ‘How are you?’, says one. ‘Terrific’, replies the other, ‘how about you?’ ‘Not too bad’, says the other. From this conventional interchange, we can infer that the first speaker is probably from an Anglo culture such as the UK, Australia or New Zealand, and the second is probably US American. They both speak the same language, but the norms guiding opening self-presentations will differ even between these two relatively similar cultural groups. A distinctive aspect of US culture is the value placed on expressing oneself positively, which is not found to the same extent in all other parts of the world. For instance, some researchers found that American students reported being more often in situations that led to feeling positive about themselves, whereas Japanese students reported being more often in situations where they felt critical of themselves. Furthermore the Americans were more likely to feel positive even in situations where the Japanese did not.
두 명의 영어를 사용하는 지인이 길모퉁이에서 만난다. ‘잘 지내고 있어요?’라고 한 명이 말한다. ‘아주 좋아요, 당신은 어 때요?’라고 상대방이 대답하고, ‘그렇게 나쁘지 않아요.’라고 상대 방이 말한다. 이 관례적인 대화의 주고받기에서 우리는 첫 번째 화자는 아마도 영국, 호주, 또는 뉴질랜드와 같은 백인 문화권 출 신이고, 두 번째는 아마도 미국인이리라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그 둘은 같은 언어를 말하지만, 시작 부분의 자기표현 지표가 되 는 규범은 비교적 비슷한 이 두 문화 그룹 사이에서조차 다를 것 이다. 미국 문화의 독특한 면은 자신을 긍정적으로 표현하는 데 부여되는 가치인데, 이것은 세계의 다른 어느 지역에서도 같은 정 도로 발견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몇몇 연구자들은 미국 학생들 이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끼도록 하는 상황에 더 자주 있다고 했지만, 일본 학생들은 자신에 대해 비판적으로 느끼는 상황에 더 자주 있다고 한 것을 알아냈다. 게다가 미국인들은 일본인들이 그 러지 못한 상황에서도 긍정적으로 느낄 가능성이 더 컸다.
Test 1-7)
In the past few decades, it has become harder and harder to deny or even ignore the impact of technoscientific equipment on sport. Athletic events from bass fishing to the America’s Cup have shattered the illusion that technoscience is just merely equipment and highlight just how dependent sport is on many technoscientific artifacts and practices. Yet, for the most part, contemporary society still views sport as a decidedly human physical endeavor. Humans are social creatures, and the historical emphasis on the human motor over technoscientific machinery not only motivates athletes when the scary efficacy of the next technoscientific implement can be seen on multiple horizons but also supports the collective rejection of the present real power of technoscience in sport. Dominant narratives of athletic and sporting competitions are about human physical and intellectual struggle as well as a host of cultural assumptions, beliefs, and practices that work to privilege the human body over the technoscientific.
* bass 농어 ** shatter 산산조각 내다
지난 수십 년간, 스포츠에 대한 기술과학적 장비의 영향 력을 부정하거나 심지어 무시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졌다. 농어 낚시부터 아메리카 컵(요트 경주)에 이르기까지의 체육 행사들은 기술과학이 단지 장비에 불과하다는 오해를 산산조각 내었으며, 많은 기술과학적 인공물과 관행에 스포츠가 얼마나 의존하고 있 는지를 부각한다. 그러나, 대개 현대 사회는 여전히 스포츠를 분 명하게 인간의 신체적인 노력으로 여긴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 며, 기술과학적 기계 부품들보다 인간의 근육에 의한 운동을 우위 에 두는 전통적 중시는, 차세대 기술과학적 도구들의 두려운 효능 을 다양한 범위에서 볼 수 있을 때 운동선수들을 자극할 뿐만 아 니라, 스포츠에서 기술과학의 현존하는 실제적 위력에 대한 집단 적 거부를 뒷받침하기도 한다. 운동 경기와 스포츠 경기의 주된 서사는 기술과학보다 인간의 신체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도록 작용하는 다수의 문화적 전제, 신념 및 관습뿐만 아니라, 인간의 육체적, 지적 노력과 관련된 것이다.
Test 1-8)
Emily Greene Balch was awarded the Nobel Peace Prize in 1946. She was the third woman and the second American woman to receive the prize. Emily Balch was a social reformer, economist, sociologist, peace activist, writer and poet. Throughout her subsequent careers of social work, college teaching and working for peace she was an effective advocate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unity. Balch was professor of political economy and sociology at Wellesley College in Boston until 1918, during which time she wrote her major academic works as well as carrying out her social reform work. The outbreak of the First World War started her thirty years of pioneering for peace. Balch was a co-founder and long-time executive of the Women’s International League for Peace and Freedom and a member of many other peace organisations. Her efforts to improve international relations included campaigns to promot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nonpolitical fields. Balch’s imaginative proposals for working together through the international authorities for solving peacefully the world’s problems earned her her reputation among American peace activists as one of their intellectual leaders.
| Emily Greene Balch는 1946년에 노벨 평화상을 수상 했다. 그녀는 그 상을 받은 세 번째 여성이자 두 번째 미국 여성이 었다. Emily Balch는 사회 개혁가, 경제학자, 사회학자, 평화 운동가, 작가이자 시인이었다. 사회사업을 하고, 대학에서 가르치 고, 평화를 위해 일하는 이어지는 경력 내내, 그녀는 국제 협력과 통합의 실질적인 옹호자였다. Balch는 1918년까지 Boston의 Wellesley 대학 정치 경제학 및 사회학 교수였는데, 그 기간 동 안 그녀는 사회 개혁 작업을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주요 학술 저 작물도 저술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그녀는 30년에 걸친 평화를 위한 개척자의 일을 시작했다. Balch는 평화와 자유를 위 한 여성 국제 연맹의 공동 창립자이자, 오랜 기간에 걸친 임원이 었으며, 많은 다른 평화 기구의 회원이었다. 국제 관계 개선을 위 한 그녀의 노력에는 비정치적인 분야에서의 국제 협력 증진을 위 한 캠페인이 포함되었다. 세계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국제기관을 통해 협력하자는 Balch의 상상력 넘치는 제안은 그 녀에게 미국의 평화 운동가들 사이에서 지적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서의 명성을 가져다주었다.
Test 1-9)
The above tables show the top 15 countries with the most patents granted per million population in 2010 and in 2017. The Republic of Korea, which sat third on the 2010 list with 1,532 patents granted per million population, topped the 2017 list with 2,554 patents granted per million population. On the other hand, Japan, which topped the 2010 list with 2,237 patents granted per million population, fell to fourth place on the 2017 list with 2,239 patents granted per million population. In 2017, Singapore and Belgium newly entered the list of the top 15 countries, whereas Norway and Italy didn’t make the 2017 list. Luxembourg, Sweden, and Austria rose in the rankings between 2010 and 2017, whereas Switzerland, Finland, and Israel fell in the rankings during the same period. The Netherlands, Germany, the United States, Denmark, and France maintained their rankings between 2010 and 2017.
위의 표는 2010년과 2017년에 인구 100만 명당 승인된 특허가 가장 많은 상위 10개 국가를 보여 준다. 2010년 목록에 서 인구 100만 명당 승인된 1,532건의 특허로 3위였던 대한민국 은 2017년 목록에서는 인구 100만 명당 승인된 2,554건의 특허 로 1위를 차지했다. 반면에 2010년 목록에서 인구 100만 명당 승인된 2,237건의 특허로 1위를 차지했던 일본은 2017년 목록 에서는 인구 100만 명당 승인된 2,239건의 특허로 4위로 떨어졌 다. 2010년에 상위 10개국 목록에 들었던 모든 나라는 2017년 목록에 들었다. 룩셈부르크와 핀란드는 2010년과 2017년 사이 에 순위가 오른 반면에, 스위스와 스웨덴은 같은 기간 동안에 순 위가 떨어졌다. 네덜란드, 독일, 미국, 덴마크는 2010년과 2017 년 사이에 순위를 유지했다.
Test 1-10)
2022 English Studies Camp for High School Students
Online: July 18 – 24
We’re excited for this year’s camp to go virtual!
This one-week camp provides participants with a fun place to learn and socialize in English through distance learning. They will be able to enhance their English skills while attending a variety of sessions, engaging with college faculty and students.
Program Details
• Each day will have four one-hour academic sessions focused on creative writing or literature & culture studies.
• In the afternoon after the sessions, there will be interactive online games, and in the evening, there will be film viewings.
• Participants wishing to improve their creative or academic writing skills can receive one-on-one writing consultations.
• The camp closes with a Virtual Showcase of campers’ performances and projects.
Cost & Registration
Registration fee is $25 and can be paid on the camp website.
Registration can be cancelled up to a day before the camp, free of charge.
For additional questions, visit the website or email the camp director, Dr. Elisia Stern, at engcamp@mmu.edu.
고교생을 위한 2022 온라인 영어 학습 캠프: 7월 18일
~24일
올해의 캠프를 온라인으로 진행하게 되어 기쁩니다!
이 일주일간의 캠프는 참가자들에게 원격 교육을 통해 영어를 배 우고 영어로 교제하는 즐거운 공간을 제공합니다. 참가자들은 대 학 교수진 및 학생들과 관계를 맺으면서 다양한 수업에 참석하는 동안, 영어 활용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프로그램 세부 사항
매일 4개의 1시간짜리 창의적 글쓰기나 문학 및 문화 탐구를 중심으로 한 수업 시간이 있을 것입니다.
수업이 끝난 오후에는 쌍방향 온라인 게임이, 저녁에는 영화 관 람이 있을 것입니다.
자신의 창의적 글쓰기나 학술적 글쓰기 기술을 향상시키고 싶 은 참가자는 일대일 글쓰기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캠프 참가자의 솜씨와 프로젝트를 보여 주는 온라인 공개 행사 로 캠프가 마무리됩니다.
'2023학년 수능특강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학년(2022년) Test1 EBS 21번~28번 수능특강 유형편 지문 및 해석 mp3 (0) | 2022.03.20 |
---|---|
2023학년(2022년) Test1 EBS 11번~19번 수능특강 유형편 지문 및 해석 mp3 (0) | 2022.03.20 |
29 의학, 건강, 영양, 식품 EBS 수능특강 유형편 지문 및 해석 mp3 (0) | 2022.03.17 |
28 정치, 경제, 사회, 법 EBS 수능특강 유형편 지문 및 해석 mp3 (0) | 2022.03.17 |
27 심리, 대인 관계 EBS 수능특강 유형편 지문 및 해석 mp3 (0) | 2022.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