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수능특강 유형편 어휘 적절성 본문 지문 10강 보면서 mp3

Listen to the Sentences:

10 어휘 적절성 파악_22005-0296_통파일.mp3
10.52MB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It has been suggested that “organic” methods, defined as those in which only natural
products can be used as inputs, would be less damaging to the biosphere. Large-scale
adoption of “organic” farming methods, however, would ① reduce yields and increase
production costs for many major crops. Inorganic nitrogen supplies are ② essential for
maintaining moderate to high levels of productivity for many of the non-leguminous crop
species, because organic supplies of nitrogenous materials often are either limited or more
expensive than inorganic nitrogen fertilizers. In addition, there are ③ benefits to the
extensive use of either manure or legumes as “green manure” crops. In many cases, weed
control can be very difficult or require much hand labor if chemicals cannot be used, and
④ fewer people are willing to do this work as societies become wealthier. Some methods
used in “organic” farming, however, such as the sensible use of crop rotations and specific
combinations of cropping and livestock enterprises, can make important ⑤ contributions
to the sustainability of rural ecosystems.

 

10Exercises 01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p64

 

People usually accept more restrictions on their freedom during times of crisis.

사람들은 대개 위기 시에 자신들의 자유에 대한 더 많은 제약을 받아들인다.

 

There is a widespread belief that as long as everybody goes along with the stricter rules

일반적인 믿음이 있다. 모두가 더 엄격한 규칙에 동조하는 한

then we'll all get through it and we can get back to normal after it's over.

모두가 그것을 넘길 것이며 그것이 끝난 후에 정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That was true during the Depression when the U.S. federal government exploded in size.

미국 연방 정부 규모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대공황기에 그것은 사실이었다.

 

It was true during World War II, 2차 세계 대전 동안

when the people refused(accepted) all kinds of rationing and wage and price controls.

국민들이 모든 종류의 배급 제도 및 임금 물가 통제를 받아들였을 때 그것은 사실이었다.

 

As a matter of fact, expanding government powers in times of emergencies is so easy and well-accepted that

사실, 비상시기에 정부 권력을 확대하는 것은 매우 쉽고 잘 받아들여지므로,

it has been the formula for expansion even in peacetime:

그것은 평화로운 시기에조차 확대를 위한 방식이 되었다.

 

Convince the public there is a crisis and then do whatever you want.

, 대중에게 위기 상황이라는 것을 납득시키고 원하는 대로 하는 것이다.

 

There has been the "War" on Poverty, the "War" on Drugs, the health insurance "crisis,"

빈곤과의 '전쟁', 마약과의 '전쟁', 건강보험 '위기',

the "crisis" in education, the housing "crisis," the prescription drugs for seniors "crisis," and more.

교육 '위기', 주거 '위기', 고령자를 위한 처방 약 '위기' 등이 있었다.

 

The latest is the War on Terror. 가장 최근의 것은 테러와의 전쟁이다.

 

Time will tell, but the expansion of government powers

시간이 말해 줄 테지만, 정부 권력의 확대는

always changes the balance between those who govern and those who are governed.

항상 지배하는 자들과 지배를 받는 자들 사이의 균형을 변화시킨다.

 

 

10Exercises 02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p64

 

Generally, advertising research has applied objectives.

일반적으로, 광고 연구는 '실용적인' 목표가 있다.

 

Its purpose is not to uncover basic concepts and theories that explain human behavior.

그것의 목적은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기초적 개념과 이론을 밝히는 것이 아니다.

 

Rather, it is to help stimulate 오히려, 그것은 장려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sales of specific products or services to specific categories of consumers.

특정 범주의 소비자들에게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의 판매를

 

Not surprisingly, this use of research, 놀랄 것도 없이, 연구를 이렇게 사용하는 것은,

aimed at discovering how to manipulate people, has aroused considerable criticism.

사람들을 조종하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을 목표로 하므로, 상당한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Although the research trie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particular advertisements and campaigns,

그 연구는 특정 광고와 캠페인의 효과를 입증하려고 하지만,

critics claim that no scientific cause-and-effect relationship can be established

비판하는 사람들은 어떠한 과학적 인과 관계도 성립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between a given ad and the product or service it seeks to sell.

특정 광고와 그것이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이나 서비스 사이에

 

Many social scientists believe that 많은 사회 과학자는 믿는다.

there are just too many controllable(uncontrollable) variables in almost any situation to prove

거의 어떤 상황에서든지 통제할 수 없는 변수가 너무 많아서 입증할 수 없다고

that particular ads actually work. 특정 광고가 실제로 효과가 있다는 것을

 

In spite of these criticisms, however, 그러나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those preparing or funding ads believe that advertising works -

광고를 준비하거나 그 자금을 대는 사람들은 광고가 효과가 있다고 '믿고 있는데',

and they are the ones making decisions to spend millions of dollars to promote products and services.

그들이 바로 제품과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수백만 달러를 지출하기로 결정하는 사람들이다.

 

 

 

 

10Exercises 03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p65

 

Because speakers have to establish agreement on meaning, languages are regional.

화자들이 의미에 대한 합의를 확립해야 하므로, 언어는 지역성이 있다.

 

Languages were not established by expert committees or by decree, but

언어는 전문가 위원회나 법령에 의해서 확립된 것이 아니라,

gradually evolved out of people's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and their desire to communicate.

사람들의 상호 작용과 소통하고자 하는 욕구로부터 점진적으로 진화하였다.

 

Separation, physical or social, breeds new dialects.

분리는, 물리적이든 사회적이든, 새로운 방언을 낳는다.

 

Yet as long as there is interaction, language boundaries

하지만 상호 작용이 있는 한, 언어 경계는

are more solid(fluid) than names for languages or national borders might suggest.

언어의 명칭이나 국가의 경계가 암시하는 것보다 더 유연하다.

 

For example, I grew up in Germany a stone's throw away from the Dutch border.

예를 들어, 나는 네덜란드 국경에서 아주 가까운 독일에서 자랐다.

 

My parents' version of German, their local dialect rather than what they were taught at school,

내 부모님의 독일어 형태는 학교에서 배운 것이라기보다는 그분들의 지역 방언이었는데,

is very similar to the local dialect on the Dutch side. 네덜란드 쪽의 지역 방언과 매우 유사하다.

 

The Germans might not understand high Dutch, 독일인들은 고지 네덜란드어를 이해하지 못하고

and the Dutch may not understand high German,

네덜란드인들은 고지 독일어를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but the farmers on either side of the border use pretty much the same language.

국경 양쪽의 농부들은 거의 같은 언어를 사용한다.

 

They are neighbors, after all. Their language is part of the West Germanic dialect continuum.

결국, 그들은 이웃이다. 그들의 언어는 서부 게르만어 방언 연속체의 일부이다.

 

 

10Exercises 04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p65

Fashion functions as fashion only in the environment for which it is determined, and this applies globally.

패션은 그것이 결정되는 환경 안에서만 패션으로 작용하고 이것은 포괄적으로 적용된다.

 

This means that a bathing costume at the opera 이는 의미한다. 오페라 극장에서의 수영복은

will not be perceived by visitors as fashionable or unfashionable

방문객에게 유행에 어울리거나 어울리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것이 아니라

but first and foremost as an incorrect or unsuitable garment.

무엇보다 온당치 않고 부적절한 복장이라고 여겨지리라는 것을

 

Objects are perceived in context with their surroundings and processed cognitively.

사물은 그것의 주변 환경이라는 맥락 내에서 인식되며 인지적으로 처리된다.

 

Advertising takes advantage of this insight 광고는 이러한 통찰을 이용한다.

in order to attract more attention, among other things via an unusual locational reference.

더 많은 관심을 끌기 위해, 무엇보다도 독특한 장소와의 관련성을 통하여

 

A bathing costume will not as long as society has not agreed on this

수영복은, 사회가 이미 동의했던 것이 아닌 한,

be accepted as fashion for the opera. 오페라 극장을 위한 패션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다.

 

Quite apart from the functional and moral components,

기능적이고 도덕적인 요소와는 상당히 별개로,

the bathing costume strengthens(lacks) the added value that

수영복은 부가적인 가치를 결여한다.

refers to the environment of the opera (referential aspect) such as elegance, festive quality or glamour.

우아함, 축제다운 속성, 또는 화려함과 같은 오페라의 환경(관련성 측면)을 나타내는

 

However, the contemporary, flexible society no longer upholds

그러나, 현대의 유연한 사회는 더는 옹호하지 않는다.

the vestimentary demands of space that 복장과 관련된 장소의 요구 사항,

nineteenth-century bourgeois society made, and that continued to have an effect into the 1950s:

19세기 중산층 사회가 만들고 1950년대까지 계속해서 영향을 미친

for example evening wear at the opera. 예컨대 오페라 극장에서의 야회복을

 

 

10Exercises 05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p66

 

Every culture maintains certain key beliefs that are centrally important to that culture,

모든 문화는 그 문화에 중추적으로 중요한 특정 핵심 신념을 유지하고 있으며,

upon which all secondary beliefs are predicated. 그것에 모든 부차적인 신념들이 근거를 둔다.

 

These key beliefs cannot be easily given up, 이러한 핵심 신념은 쉽게 포기될 수 없는데,

because if they are, everything falls, and the unknown once again rules.

왜냐하면 만약 그렇게 될 경우, 모든 것이 무너지고, 알 수 없는 것들이 또다시 지배하기 때문이다.

 

Western morality and behavior, for example, a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very individual is sacred.

예를 들면, 서양의 도덕성과 행동은 모든 개인이 신성하다는 가정에 토대를 두고 있다.

 

This belief was already present in its nascent form among the ancient Egyptians,

이러한 신념은 고대 이집트인들 사이에 초기의 형태로 이미 존재하고 있었으며,

and provides the very cornerstone of Judeo-Christian civilization.

유대교와 크리스트교 문명의 바로 그 초석을 제공한다.

 

Successful challenge to this idea would invalidate the actions and goals of the Western individual;

이 개념에 대한 도전에 성공하면 서양인 개인의 행위와 목적이 틀렸음을 입증할 것이고,

would destroy the Western dominance hierarchy, the social context for individual action.

서양의 지배 위계, 즉 개인의 행위에 대한 사회적 상황을 파괴할 것이다.

 

In the presence(absence) of this central assumption, 이러한 중추적인 가정의 부재 속에서,

the body of Western law formalized myth, codified morality erodes and falls.

서양 법의 근간, 다시 말해 형식화된 신화, 성문화된 도덕성이 약화되고 무너진다.

 

There are no individual rights, no individual value 개인의 권리와 개인적 가치는 존재하지 않으며,

and the foundation of the Western social (and psychological) structure dissolves.

서양의 사회적인 (그리고 심리적인) 구조의 토대가 소실된다.

 

The Second World War and Cold War were fought largely to eliminate such a challenge.

2차 세계 대전과 냉전은 대개 이러한 도전을 없애기 위해서 벌어졌다.

 

10Exercises 06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p66

Satire's favorite targets are those who imagine that they are wiser or better than others.

풍자가 가장 좋아하는 대상은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더 현명하거나 더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In some periods that means self-righteous clergy,

어떤 시기에는 그것이 독선적인 성직자들을 의미하는데,

who show off their supposed superiority to the laity.

그들은 자신들이 평신도보다 이른바 우월하다는 점을 과시한다.

 

Since the age of reason, the intelligentsia plays the same role.

이성의 시대 이래로, 지식 계급이 같은 역할을 한다.

 

Intellectuals are drawn to theories that offer the key to human affairs, and

지식인들은 인간사에 해답을 제공하는 이론에 끌리고,

they almost always imagine that theoretical knowledge is far superior to practical wisdom.

거의 항상 이론적인 지식이 실제적인 지혜보다 훨씬 더 우월하다고 생각한다.

 

From the satirist's perspective, the reason is obvious:

풍자가의 관점에서 보면, 그 이유는 명백하다.

if theory rules the world, then theorists should rule the world.

즉 만약 이론이 세상을 지배한다면, 이론가들이 당연히 세상을 지배할 것이다.

 

As Tolstoy puts it, it is "natural and agreeable" 톨스토이의 표현대로, "자연스럽고 동의할 만"하며,

for learned people to think "that their class is the basis of the movement of all humanity,"

학식 있는 사람들이 "자기 계급이 모든 인간 활동의 기초"라고 생각하는 것은

and if we have histories that trace the cause of events to men of ideas,

만약 사건의 원인을 지식인들에게까지는 추적하여 찾아내지만,

but none to the activity of merchants or shoemakers,

상인이나 제화업자들의 활동에까지는 아무것도 추적하여 찾아내지 않는 역사가 있다면

that is only because merchants and shoemakers do not write histories.

그것은 단지 상인들과 제화업자들이 역사를 기록하지 않기 때문이다.

 

The worldly success of merely scholarly(practical) people

따라서 그저 실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세속적인 성공은

therefore seems to them an injustice to be remedied. 바로잡아야 할 부당함으로 그들에게 보인다.

 

The wealth of those who do or produce things seems like some sort of trick, if not theft.

일을 하거나 물건을 만드는 사람들의 부는 도둑질은 아니더라도 어떤 종류의 속임수처럼 보인다.

 

10Exercises 07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p67

An important norm that people learn is that when we become angry,

사람들이 배우는 중요한 규범 한 가지는 화가 날 때

we need to hold our tempers in check and not physically assault other people.

화를 억제하고 다른 사람들을 신체적으로 폭행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Thus we are socialized to avoid behaving aggressively in a physical manner,

따라서 우리는 신체적인 방식으로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피하도록 사회화되고,

and this belief inhibits us from behaving aggressively.

이런 생각은 우리가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However, the media present a continual stream of messages

그러나 미디어는 일련의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제시한다.

where violence is used successfully to solve problems.

폭력이 문제 해결을 위해 성공적으로 사용되는

 

More often than not, it is the "good" characters or heroes who use violence in a rewarded manner.

대개는, 보상을 받는 방식으로 폭력을 사용하는 사람은 바로 '착한' 등장인물이거나 주인공(영웅)이다.

 

This stream of media messages in which violence and physical aggression is portrayed as a good thing

폭력과 신체적 공격이 좋은 것으로 그려지는 이런 연속적인 미디어 메시지로 인해

gradually alters our belief that violence is bad; 폭력이 나쁘다는 우리의 생각이 서서히 바뀌는데,

that is, our socialized inhibitions gradually erode. 다시 말해서 우리의 사회화된 억제가 점차 약화된다.

 

This gradual wearing down of a person's socialized beliefs that

이렇게 점차 약화되는 것에 개인의 사회화된 생각이

the use of violence and aggression is socially unacceptable

폭력과 공격의 사용이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다는

has been labeled the "disinhibition effect." '탈억제 효과'라는 명칭이 붙었다.

 

We are socialized in a way to inhibit aggressive behavior,

우리는 공격적인 행동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사회화되기 때문에,

so when the media show that our favorite characters behave aggressively

미디어가 보여 주면, 우리가 좋아하는 등장인물이 공격적으로 행동하고,

and that this results in them getting what they want,

이것이 그들이 원하는 것을 얻는 결과로 이어지는 것을

we have our inhibitions enhanced(eroded). 우리의 억제는 약화된다.

 

10Exercises 08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p67

Norman Owen-Smith, an ecologist at the University of Witwatersrand in South Africa,

남아프리카 공화국 Witwatersrand 대학교의 생태학자인 Norman Owen-Smith

has made a careful study of what he calls megaherbivores:

꼼꼼한 연구를 해 왔다. 자신이 초대형 초식 동물이라고 부르는 것,

elephants, rhinos, and hippos, the only surviving land mammals that weigh more than 1,000 kg as adults.

즉 성체일 때 1,000kg이 넘는 유일하게 살아남은 육지 포유류인 코끼리, 코뿔소, 하마에 대해

 

Their size, he has found, makes these animals ecologically unique.

그가 발견한 바에 따르면, 이 동물들은 그 크기 때문에 생태학적으로 독특하다.

 

Adults are so massive that they are immune to the attacks of lions and other large predators,

성체는 매우 거대해서 사자와 다른 큰 포식자들의 공격에 영향을 받지 않지만,

yet megaherbivores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the impacts of human hunting.

초대형 초식 동물은 인간이 하는 사냥의 영향에 특히 취약하다.

 

Owen-Smith calculates that the potential growth rate of an African elephant population

Owen-Smith는 계산한다. 아프리카코끼리 개체 수의 잠재 성장률이

is no more than 6.5 percent per year. 연간 6.5퍼센트에 지나지 않는다고

 

Such a slow-breeding species, he says, 그렇게 느리게 번식하는 종은 그는 말한다.

would be doomed if any efficient predator began to focus on it.

만약 어떤 효율적인 포식자가 그것에 집중하기 시작하면 불행한 운명을 맞을 것이라고

 

This, he believes, exactly describes the situation of Pleistocene elephants in the Americas.

그는 이것이 미 대륙 홍적세(洪積世) 코끼리의 상황을 정확히 설명한다고 믿는다.

 

Owen-Smith interprets Owen-Smith는 해석한다.

the fact that the great majority of known Ice Age kill sites involved mammoths or mastodons

빙하기 사냥 현장이라고 알려진 곳의 대다수가 매머드나 마스토돈을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as evidence that they were humans' disliked(preferred) prey.

그것들이 인간이 선호하는 사냥감이었다는 증거로

 

There were plenty of smaller animals around to sustain them

자신들을 살아가게 할 더 작은 동물이 주위에 많이 있었으므로,

if they couldn't bag a megamammal, 그들이 초대형 포유동물을 잡을 수 없었다고 하더라도

so human hunting pressure did not let up as elephant numbers dwindled.

코끼리의 수가 줄어듦에 따라 인간의 사냥 압박은 약해지지 않았다.

 

 

 

Posted by 최 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