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고등영어1, 교학, 강문구, 3과 본문, 및 해석, 생각의 지도

The Geography of Thought

생각의 지도

 

Sumin, a Korean exchange student in America, asks a question to her teacher, "Mr. Mann, do we bring our own lunch to the school trip tomorrow?“

미국에 있는 한국 교환학생 수민이 선생님한테 "Mr. Mann, 내일 학교 여행에 우리 점심 같이 먹을까?"라는 질문을 한다.

 

The teacher looks puzzled, thinking that Sumin wanted to eat lunch with him and asks back, "Uh...Sumin, who are WE?“

수민이 점심을 같이 먹고 싶어 한다는 생각에 선생님은 어리둥절해 보인다 그리고 다시 수민아, 우리가 누구지?"라고 되묻는다.

 

Sumin does not understand why Mr. Mann is confused and answers, "Me and my friends!"

수민은 Mr. Mann 혼란스러워하고 "나와 친구들!"이라고 대답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He thought of "we" as "you and me.“

그는 "우리" "당신과 "라고 생각했다.

 

Here, the misunderstanding arises from the different definitions of "we" that the Korean student and the American teacher have.

여기서, 이러한 오해는 한국 학생과 미국 교사가 가지고 있는 "우리" 다른 정의에서 비롯된다.

 

So why do these two cultures have different ways of thinking?

그렇다면 문화는 다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을까?

 

What impact does culture have on cognition?

문화는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Psychologist Richard Nisbett has conducted dozens of studies to find out the answer to this question.

심리학자 Richard Nisbett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수십 개의 연구를 수행했다.

 

Presented in The Geography of Thought:

생각의 지도에 제시된 :

 

How Asians and Westerners Think Differently, the results of his studies are fascinating.

아시아인들과 서양인들이 어떻게 다르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그의 연구 결과는 매혹적이다.

 

In the book, psychologists conducted tests of inference, logic, or decision making to compare two different groups, "Asians" and "Westerners.“

책에서, 심리학자들은 개의 다른 집단인 "아시아인" "서양인" 비교하기 위해 추론, 논리 또는 의사결정의 테스트를 실시했다.

 

Here are a few examples of their remarkable findings.

여기 그들의 주목할 만한 발견의 가지 예가 있다.

 

(A) Chinese,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were asked to read newspaper reports about mass shootings.

(A) 중국, 한국, 미국 학생들에게 총기 난사 관련 신문 기사를 읽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When asked why the killings happened, Chinese and Korean students were far more likely to blame situational factors such as "he was isolated from the rest of his class" or "availability of guns in the United States")

살인이 일어났는지 물었을 , 중국과 한국 학생들은 "그는 다른 학급에서 격리되었다" 또는 "미국에서의 총기 사용 가능" 같은 상황적 요인들을 훨씬 비난할 가능성이 높았다,

 

while Americans were more likely to focus on the shooter's personality traits or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he suffered from severe depression" or "political belief that guns were a legitimate means to resolve a problem").

반면에 미국인들은 저격범의 성격 특성이나 심리적 문제(: "심각한 우울증으로 고생했다" 또는 "총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합법적인 수단이라는 정치적 신념" ) 초점을 맞출 가능성이 높았다.

 

(B) When asked to describe themselves either in particular contexts or without specifying a situation (e.g.

(B) 특정한 상황에서 또는 상황을 명시하지 않고 그들 자신을 설명하라는 요청을 받았을 (:

 

I work very diligently on school projects, I am a loving child, or I like to cook with my friend vs. I am loving, diligent, or I like to cook),

나는 학교 프로젝트를 매우 열심히 하고, 사랑스러운 아이거나, 친구와 함께 요리하는 것을 좋아한다) 나는 사랑하고 부지런하며 요리하는 것을 좋아한다.)

 

Japanese people had difficulty describing themselves without referencing context;

일본인들은 문맥을 언급하지 않고 그들 자신을 설명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Americans not only preferred to describe themselves in terms of universal attributes, but many had trouble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describing themselves "in context" at all.

미국인들은 자신들을 보편적인 속성으로 묘사하는 것을 선호했다 그러나 많은 미국인들은 자신들을 "문맥 속에서" 묘사하는 개념을 이해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C) When shown pictures of grass, a chicken, and a cow and then asked to select which of the three did not belong, American children were far more likely to choose the grass (because the other two are animals), (

C) 잔디, , 소의 사진을 보고 마리 어느 것이 속하지 않는지를 선택하라고 요구했을 , 미국 아이들은 잔디(다른 둘은 동물이기 때문에) 선택할 가능성이 훨씬 높았다.

 

while Chinese children were far more likely to choose the chicken (because the cow eats the grass).

반면에 중국 아이들은 닭을 고르는 것이 훨씬 쉽다(왜냐하면 소가 풀을 먹기때문이다).

 

(D) American and Japanese students were asked to view a video of a fish tank that contained several fish in the foreground with bubbles, water plants, rocks, and a smaller fish in the background.

(D) 미국과 일본 학생들은 전경에 거품, 수초, 바위, 그리고 배경에 작은 물고기들이 있는 수조 영상을 것을 요청받았다.

 

They were later tested on what they remembered from the scene.

그들은 나중에 장면에서 무엇을 기억하는지 시험받았다.

 

Japanese students were twice as likely to remember unmoving, background objects as Americans.

일본 학생들은 미국 학생들보다 배나 움직이지 않는 배경의 물건들을 기억할 가능성이 있었다.

 

When asked to describe what they saw, Japanese students first referred to the environment ("it looked like a pond"),

일본 학생들은 자신들이 것을 묘사하라는 질문을 받았을 처음에는 환경("그것은 연목같다") 언급했고,

 

while Americans were three times as likely to refer to something in the foreground ("there were three big fish swimming to the left") as Japanese.

반면에 미국인들은 전경("왼쪽으로 헤엄치는 물고기가 마리있다") 있는 것을 언급할 가능성이 일본인보다 배나 높았다.

 

When numerous studies of this sort are placed side by side, one can draw a clear conclusion.

이런 종류의 많은 연구가 나란히 놓여지면, 명확한 결론을 내릴 있다.

 

Asians perceive the world as a complex, constantly changing, and interrelated whole.

아시아인들은 세상을 복잡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며, 상호 연관성이 있는 전체로 본다.

 

On the other hand, Westerners perceive the world as what can be analyzed, categorized, and divided into individual parts.

반면에 서양인들은 세상을 개별적인 부분으로 분석, 분류, 나눌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Asians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an object apart from its context;

아시아인들은 그것의 맥락 떨어진 물체를 이해하는 어려움을 겪는다.

 

Westerners often never see the context at all.

서양인들은 맥락을 전혀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Asians see themselves as part of one larger whole.

아시아인들은 그들 자신을 하나의 전체의 일부로 본다.

 

They accept social order and are quicker to notice the feelings of others.

그들은 사회 질서를 받아들이고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빨리 알아차린다.

 

Westerners try hard to make themselves look good and look unique.

서양인들은 스스로를 멋있게 보이고 독특하게 보이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다.

 

Westerners demand social equality; Asians aim for social harmony.

서양인들은 사회적 평등을 요구하며, 아시아인들은 사회적 조화를 추구한다.

 

However, The Geography of Thought is not without its limitations.

그러나 생각의 지도에는 한계가 없다.

 

Careful readers will notice that the "East" and "West" in the book are narrower than normally defined, with the East meaning "China, Korea, or Japan" and the West meaning "America, Canada, Great Britain, or Australia.“

조심스러운 독자들은 책에 있는 "동양" "서양" 보통 정의된 것보다 좁다는 것을 알게 것이다, 동양의 의미는 "중국, 한국, 일본"이고 서구는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의미하기 때문이다.

 

The studies that do include continental Europeans suggest that human cognition cannot be simply separated into West and East.

유럽 대륙을 포함한 연구들은 인간의 인식이 단순히 서부와 동부로 분리될 없다고 제안한다.

 

When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developed countries are surveyed, three distinct groupings emerge.

선진국들의 태도와 인식을 조사하면 3개의 뚜렷한 집단이 나타난다.

 

The Americans, British, Canadians, and Australians had a strong 'individualist' tendency.

미국인, 영국인, 캐나다인, 그리고 호주인들은 강한 '개개개인주의'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As expected, Korean, Japanese, and Chinese preferences were far on the opposite side.

예상했던 대로, 한국, 일본, 중국인들의 선호는 정반대였다.

 

Most surprising were the French, Germans, Belgians, and Italians, whose preferences were between the two although they are considered "Westerners.“

가장 놀라운 것은 프랑스, 독일, 벨기에, 이탈리아인들이었는데, 그들은 서양인으로 여겨졌지만 그들의 선호는 동양과 서양 사이에 있었다.

 

This is a fatal flaw in Professor Nisbett's argument that the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East and West has deep seated historical and sociological roots.

이것은 동서양의 인지적 차이가 역사적, 사회적 뿌리에 깊이 자리 잡고 있다는 니스베트 교수의 주장에 치명적 결점이다.

 

The problem is worsened by the studies of bicultural individuals.

문제는 이중문화 속에서 자란 개인에 대한 연구로 인해 악화되었다.

 

When given contextual cues that they were encountering an "Eastern" or Western" situation, these individuals unconsciously flipped their world views.

그들이 "동양"이나 "서양"상황에 직면하고 있다는 문맥적인 신호를 받았을 , 개인들은 무의식적으로 그들의 세계관을 뒤집었다.

 

This suggests that many of these differences are not deeply rooted in history or socioeconomics.

이것은 이러한 차이점들 많은 것들이 역사나 사회경제학에 깊이 뿌리박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암시한다.

 

Despite these weaknesses this book is an important one.

이러한 약점에도 불구하고 책은 중요한 책이다.

 

The actual data presented is hard to argue with, and its implications are far ranging.

제시된 실제 데이터는 논쟁하기 힘들고 그것이 함축하는 것은 광범위하다.

 

There are other fields (such as marketing, organizational science, public diplomacy,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that can make good use of these studies.

이러한 연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있는 다른 분야(: 마케팅, 조직 과학, 공공 외교, 2 언어 학습) 있다.

 

The studies presented in The Geography of Thought are really just the beginning.

생각의 지도에서 제시된 연구는 정말로 시작에 불과하다.

 

This is one of the most exciting areas of research offered by modern psychology and every other field related to it.

이것은 현대 심리학과 그것과 관련된 모든 다른 분야에 의해 제공되는 가장 흥미로운 연구 분야 하나이다.

 

Posted by 최 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