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고등영어2, 다락원 김길중, 6과 본문 해석 음원 mp3, 지속 가능한 도시 계획

Listen to the Sentences:

15개정_고등학교영어II_6.mp3
7.36MB

The Shaping Hands of Cities and Civilization - Sustainable Urban Planning

 

Sustainable Urban Planning

지속 가능한 도시 계획

 

Urban planning is a process concerned with the use of land,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public welfare.

도시 계획은 토지의 사용, 환경의 보호, 공공복지와 관련된 과정입니다.

 

It is a valuable force for city leader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이는 도시의 지도자들이 지속 가능한 발전을 달성하도록 하는 데에 있어 가치가 동력입니다.

 

Urban planning helps cities make wise investments in infrastructure and services so that they can balance the demand for growth with the need to protect the environment.

도시 계획은 도시들이 사회 기반 시설과 서비스에 현명하게 투자함으로써 성장에 대한 수요와 환경 보호의 필요성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도록 도와줍니다.

 

It also helps cities ensure balanced economic development and creates a framework for collabo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the private sector, and the general public.

이는 또한 도시들이 균형 잡힌 경제 발전을 이루도록 돕고, 지역 정부, 민간 부문, 그리고 일반 대중들 사이의 협력을 위한 틀을 만들어 줍니다.

 

When people began constructing the first towns and cities in human history, they utilized urban planning in the process.

인류의 역사 속에서 사람들이 최초의 마을들과 도시들을 건설하기 시작했을 , 그들은 과정에서 도시 계획을 활용했습니다.

 

The ancient city of Mohenjo-daro provides a good example.

고대 도시 모헨조다로는 좋은 예를 제시합니다.

 

Built in the Indus Valley more than 4,000 years ago, it had a sophisticated infrastructure for the purpose of sanitation and health.

4 년도 인더스 유역에 형성되었을 , 그곳은 위생과 건강의 목적을 위한 수준 높은 사회 기반 시설을 가졌습니다.

 

For instance, nearly all of the houses contained bathing facilities, and the streets had both wells and drains.

예를 들어, 거의 모든 집들이 목욕 시설을 가지고 있었고, 도로에는 우물과 하수도가 있었습니다.

 

Along the banks of the Tigris River, where Mesopotamian civilization developed, the city of Nineveh also utilized urban planning.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발달하였던 티그리스강의 강둑을 따라, 니네베 역시 도시 계획을 활용하였습니다.

 

During the time that Sennacherib ruled, which lasted from 704 to 681 B.C., the city was redesigned so that its public squares were widened and its streets straightened to allow more light to enter.

기원전 704년부터 681년까지 지속된 센나케리브가 통치하는 동안, 도시는 재설계되어 많은 빛을 들게 하기 위해 공공 광장이 넓혀지고 도로가 반듯해졌습니다.

 

In addition, sophisticated engineering projects brought water to the city from mountains located eighty kilometers away.

게다가, 수준 높은 공학 프로젝트가 80킬로미터 떨어진 산으로부터 도시까지 물을 끌어왔습니다.

 

Innovative water screws allowed water to be carried to higher levels, allowing for the creation of the legendary Hanging Gardens of Babylon.

혁신적인 나선 추진기가 물을 높은 층으로 끌어올려지도록 하여 전설적인 바빌론의 공중 정원 탄생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The Hanging Gardens almost certainly functioned in a similar manner to modern-day green roofs, which filter dust, absorb carbon dioxide, and reduce heat.

공중 정원은 먼지를 거르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열기를 줄이는 오늘날의 옥상 정원과 유사한 방법으로 거의 분명히 기능했습니다.

 

Both examples from ancient times show the importance of water management system in urban planning.

고대로부터의 사례는 도시 계획에서 용수 관리의 중요성을 보여 줍니다.

 

In more recent times, Georges-Eugène Haussmann renovated the city of Paris from 1853 to 1870.

최근에, 조르주 외젠 오스만은 1853년부터 1870년에 이르기까지 파리를 개조하였습니다.

 

He used special planning principles that included straight tree-lined boulevards, diagonal streets, squares, parks, and public monuments and buildings to open the city to air and light.

그는 도시를 공기와 빛에 개방하기 위해 가로수를 심은 뻗은 대로, 사선 형태의 도로, 광장, 공원, 공공 기념비와 건물들을 포함하는 특별한 계획 원칙들을 사용했습니다.

 

Haussmann's public works resulted in improved sanitation, the delivery of fresh water, and better human health, which is what had basically happened thousands of years earlier in Mohenjo-daro.

오스만의 공공사업은 개선된 위생, 깨끗한 물의 보급, 그리고 향상된 대중 건강의 결과를 낳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수천 모헨조다로에서 일어났던 일이었습니다.

 

At roughly the same time, across the English Channel, people in the city of London, England, sought ways to fight the cholera epidemics that were affecting them.

대략 같은 시기에, 영국 해협 너머 잉글랜드의 런던 사람들은 영향을 끼치고 있던 콜레라 전염병에 맞서 싸울 방법들을 찾고 있었습니다.

 

In 1853 and 1854, more than 10,000 people in London were killed by the disease.

1853년과 1854년에 런던의 명이 넘는 사람들이 질병으로 숨졌습니다.

 

Joseph Bazalgette, the chief engineer of the metropolitan board of works in the city, believed that the cause of the epidemics was the flowing of polluted water in the city's old sewers.

도시의 수도권 위원회의 수석 엔지니어였던 조셉 바잘게트는, 전염병의 원인이 도시의 낡은 하수도로 오염된 물이 유입된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As long as the quality of water was poor, people continued getting sick.

수질이 나쁘기 때문에 사람들은 계속해서 병에 걸렸습니다.

 

Bazalgette promptly began working to improve both the sewers and the streets in London.

바잘게트는 즉시 런던의 하수도와 길거리를 개선하기 위해 일을 시작했습니다.

 

By 1866, most of the city was connected to a sewer network that he had devised, and there were great improvements in public health.

1866년까지 도시의 대부분은 그가 고안한 하수 관망에 연결되었으며, 공공 건강에 향상이 있었습니다.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most people believed that as long as they were guaranteed a safe, clean city environment, there was no need for any more urban planning.

19세기 동안,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이 안전하고 깨끗한 도시 환경을 보장받기만 한다면 이상의 도시 계획의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However, at the end of the century, Ebenezer Howard introduced the idea of a garden city, which was later to be regarded as the origin of the modern ecocity.

그러나 19세기 말엽에, 에버니저 하워드는 전원도시라는 발상을 도입했는데, 이는 후에 현대 환경 도시의 기원이라고 여겨집니다.

 

Inspired by the pollution, congestion, and social dislocation in industrial cities during his time, he sought to reunite people and nature to create a hybrid form connecting city and countryside.

그가 살던 시대의 산업화된 도시의 공해, 체증, 그리고 사회적 혼란에서 영감을 얻어, 그는 도시와 시골을 연결하는 혼합적 형태를 만들기 위하여 사람과 자연을 재결합하려 했습니다.

 

Among the elements that he wanted to see added to cities was a ring that included a central park, circular roads, homes for individual families, individual neighborhoods, zones for specific land usage, vast open spaces, and a greenbelt.

그가 도시에 추가되는 것을 보고자 했던 요소들 중에는 중앙 공원, 원형 도로, 개별 가정을 위한 , 따로 분리된 이웃, 특정 토지 사용을 위한 구역, 광대한 개방 공간, 그리고 그린벨트를 포함하는 원형이 있었습니다.

 

Next was Le Corbusier, the acknowledged founder of modern urban planning.

다음은 알려진 현대 도시 계획의 창시자인 르코르뷔지에입니다.

 

Like Haussmann, he proposed opening cities by constructing broad major road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parks and open spaces.

오스만과 같이 그는 넓은 도로를 건설하고 공원과 개방 공간을 늘림으로써 도시를 개방하기를 제안했습니다.

 

Influenced by Howard, he designed an encircling band of garden cities.

하워드의 영향을 받아, 그는 전원도시들의 둘러싸인 집합을 설계했습니다.

 

The centers of his cities would be vertical and be comprised of enormous blocks containing tall glass and steel towers.

그가 설계한 도시들의 중심부는 수직적이며 유리와 철골로 고층 건물들을 포함한 거대 블록으로 구성될 것이었습니다.

 

Away went cities crowded with small buildings.

작은 건물들로 북적이는 도시들은 사라져 갔습니다.

 

Instead, he imagined his cities as being immense parks.

대신, 그는 그의 도시들이 거대한 공원이 되는 것으로 상상하였습니다.

 

Another urban planner, American architect Frank Lloyd Wright, was inspired by the garden city just like Le Corbusier was.

다른 도시 계획가인 미국 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르코르뷔지에가 그러하였던 것처럼 전원도시에 영감을 받았습니다.

 

But instead of building up, he wanted to build out and expand across the landscape.

그러나 건물을 높이 올리는 대신, 그는 건물을 증축하고 풍경을 가로질러 도시를 확장하기를 원했습니다.

 

He proposed the idea of Broadacre City, which would take the local environment and climate into account when designing the buildings and roads.

그는 브로드에이커 시티(Broadacre City)라는 발상을 제안했는데, 이는 건물들과 도로들을 설계할 지역의 환경과 기후를 고려하고자 하는 것이었습니다.

 

Decades later in the 1990s, a new theory on urban planning arose.

수십 1990년대에, 도시 계획에 대한 새로운 이론이 생겨 났습니다.

 

Known as New Urbanism, it called for clear town centers and edges as it reintroduced traditional town planning.

신도시주의(New Urbanism) 알려진 이론은 전통적인 도시 계획을 재도입하면서 깔끔하게 정돈된 도시 중심부와 주변부를 요구했습니다.

 

Supporters of New Urbanism felt that architecture and landscape design should be developed from local history and climate as well as building practices.

신도시주의의 지지자들은 건축과 도시 경관 설계는 건축 관습과 더불어 지역의 역사와 기후로부터 발전되어야 한다고 느꼈습니다.

 

It stressed small centers with multiple uses, walkability, buildings made the right sizes for humans, tree-lined streets, and adequate numbers of green spaces.

이는 다양한 용도를 가진 소규모 중심지들과, 보행 편의성, 인간을 위해 적절한 크기로 지어진 건물들, 가로수가 늘어선 도로들, 그리고 적절한 수의 녹지를 강조했습니다.

 

Its ecological approach sought to harmonize the neighborhood with the region.

이것의 생태학적 접근은 근린주구와 지역을 조화시키려 했습니다.

 

The cities of Bogotá and Medellín, both of which are located in the South American country of Colombia, have engaged in something called Social Urbanism.

남미의 콜롬비아에 위치해 있는 보고타와 메데인 시는 사회적 도시주의(Social Urbanism)라고 불리는 것에 참여해 왔습니다.

 

Targeted, experimental interventions were made in both cities in an effort to improve both the environment and society.

목적을 가진 실험적 개입이 환경과 사회 모두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도시에서 시행되었습니다.

 

In Medellín, iconic libraries in parks were built, and the city's cable car system was expanded so that it connected the poorest areas of the city with the urban core.

메데인에서는, 공원 내에 상징적인 도서관들이 지어졌고, 도시의 케이블카 체계가 확대되어 도시의 최빈곤 지역을 도시의 중심부와 연결했습니다.

 

In Bogotá, parks were established to help control local flooding, millions of trees were planted, and just about everything was recycled.

보고타에서는, 지역의 홍수 통제를 돕기 위해 공원이 조성되었고, 수백만 그루의 나무가 심어졌으며, 거의 모든 것들이 재활용되었습니다.

 

The city's bus system was also paired with what became one of the most extensive networks of bicycle lanes in the entire world.

도시의 버스 체계 또한 세계에서 가장 광범위한 자전거 전용도로망 하나가 것과 연결되었습니다.

 

The principles and strategies of Social Urbanism show promise.

사회적 도시주의의 원칙과 전략은 성공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They replace the big plans of previous urban planners such as Haussmann and Le Corbusier with small urban projects and make changes to the infrastructure that already exists.

그들은 오스만과 르코르뷔지에와 같은 예전의 도시 계획가들의 거대한 계획을 소규모 도시 프로젝트로 대체하고 있으며 기존에 존재하는 기반 시설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The urban planning of today has its own issues that need special attention.

오늘날의 도시 계획은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하는 자체적인 쟁점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Among them are the renovating of poor areas, the protecting of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sites, the reducing of both economic and human loss during times of disaster, and the providing of access to green and public spaces.

그들 중에는 빈곤 지역을 개조하는 , 문화 자연 유산 장소를 보존하는 , 재난 발생 시의 경제적 인적 손실을 줄이는 , 그리고 녹지와 공용 장소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것이 있습니다.

 

By dealing with these and other issues, modern-day urban planners can create cities that cater to the needs of their residents with promises of a brighter future.

이들과 다른 쟁점들을 다룸으로써 현대의 도시 계획가들은 보다 밝은 미래에 대한 전망을 가지고 거주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도시들을 창조해 있습니다.

 

Fortunately, there are abundant resources they may rely on.

다행히도, 그들이 의지할 있는 엄청난 자산이 있습니다.

 

They can look back in time to seek inspiration from the past and look around for modern examples, too.

그들은 과거로부터 영감을 찾도록 지나간 시간을 되돌아볼 있으며, 또한 현대의 사례를 찾기 위해 주변을 둘러볼 수도 있습니다.

 

Thus, urban planners may be able to achieve more workable and sustainable goals by incorporating the wisdom of urban planners throughout history.

따라서, 도시 계획가들은 역사를 통해 도시 계획가들의 지혜를 융합함으로써 더욱 실행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목표를 달성할 있습니다.

 

If they should succeed in doing so, they will have created cities in which people can live comfortably.

만일 그들이 그것에 성공한다면, 그들은 사람들이 편안하게 살아갈 있는 도시를 만들어 내게 것입니다.

 

Posted by 최 샘
,